>

2024 동계 모각코

목표Solana Core concepts - 2 내용Solana Account ModelOn Solana, all data is contained in what we call "accounts". Accounts can store up to 10MiB of data, which contain either executable program code or program state.Account require a rent deposit in lamports that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data stored.Every account has a program owner. Only the program that owns an account can modify its data...
목표Solana Core Concepts - 1내용On Solana, all data is stored in "accounts". The way data is organized on the Solana blockchain resembles a key-value store, where each entry in the database is called an "account". Transactions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each representing a specific operation to be processed.The execution logic for instructions is stored on programs deployed to the Solana netw..
목표블록체인 open source 분석 결과이 open source는 blockchain을 간단한 형태로 구현해놓았다. blockchain의 "block"부터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type Block struct { Timestamp int64 Data []byte PrevBlockHash []byte Hash []byte} Timestamp, Data, PreBlockHash, Hash로 이뤄져 있다. 변수 이름으로 내용이 추측이 된다.추가적으로 nonce, Proof-of-Work 관련 내용이 들어가야 하지만 이건 추후에 보자. 그럼 Hash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살펴보자.func (b *Block) SetHash() { timestamp := [..
스마트 컨트랙트란?서면으로 이루어진 계약을 코드로 구현한 것 ->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해당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게 하는 스크립트(전자 계약서)조건이 충족될 경우, 계약 내용을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 코드로 작성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면 네트워크 참여자(노드)들의 유효성 검증이 이뤄지고, 검증 완료 시 스마트 컨트랙트가 포함된 블록이 생성되며 배포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작동 원리-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solidity 등으로 구현- solidity 코드 컴파일 -> bytecode 생성- transaction에서 bytecode 담고, miner가 해당 transaction이 담긴 블록을 채굴함과 동시에 transaction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됨- 유저 : ABI..
목표블록체인 기초 공부 - 2 결과 EVM(Ethereum Virtual Machine)EVM is decentralized computation engine that executes smart contraction the Ethereum network.Evm is operated across thousands of computers, or nodes.This distributed natrue of EVM ensure the security and reliability of the Ethereum network.EVM operates as a state machine. -> It computes a new valid state from block to block based on a set of prede..
목표블록체인 기초 공부 - 1 결과 블록체인이란? 말 그대로 블록과 블록을 체인 형태로 연결한 자료구조임. 여기에 사용되는 "블록"은 일정 시간마다 한 번씩 생성된다.여러 건의 거래 내역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기존의 것에 체인처럼 계속 연결하는 것이다.   블록은 크게 Header, Body로 나눌 수 있고 세부적으로는 위의 그림과 같다. 블록 해시 : 간단히 말해 블록 헤더에 존재하는 정보들을 합산한뒤 SHA256으로 변환하여 구할 수 있다.이전 블록 해시 : 블록체인은 이전 블록 해시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머클 루트 :  블록의 Body에 존재하는 Transaction들의 해시 트리라고 볼 수 있다. 머클 루트를 통해 단일 블록 내에 존재하는 Transaction의 무결성..
1주차 : 블록체인 기초 공부 - 12주차 : 블록체인 기초 공부 - 23주차 : 블록체인 open source 분석 - 14주차 : 블록체인 open source 분석 - 25주차 : web3.py를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6주차 : Layer 2 솔루션 공부
0u_Y
'2024 동계 모각코' 카테고리의 글 목록